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펌]흙집 고비용-온고지신 덕

책가방

by 한가해 2011. 10. 21. 10:25

본문

흙집 건축비가 많이 드는 이유가 있읍니다.


(1) 소규모 살림집에서 중·대규모 살림집으로 바뀌었다.

채 나눔 방식의 소규모 건축물의 집합이었던 살림집이 기능과 효율에 따라

독채형 완결 건물 형태로 규모화 하였기 때문에 기초, 골조, 지붕방식에 큰 차이를 가져왔다.

목재의 치수나 길이도 커졌고, 그만큼 공정도 복잡해졌다.  
 
(2) 집의 모양은 한옥, 기능은 현대주택을 만들기 위한 비용이 추가되었다. 

현대주택인 서구 목조나 스틸하우스, 조적조 건물과 같은 단일 건축 양식이 아니라

구조와 지붕은 한옥형태의 느낌을 만들고 벽체는 흙벽돌로 쌓고, 내부 마감은

현대주택의 기능성을 살리다보니 전통건축에서 차지하는 비용과 현대건축 요소의 비용이

합산되어 단일 건축 양식보다 건축비용이 많이 들게 되었다.


(3) 공정이 복잡하고 공사 기간이 길다.

단일 건축 양식은 구조체가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하고 공사 기간도 짧다.

하지만 흙집은 뼈대와 지붕을 먼저 다 한 상태에서 벽체와 흙일이 시작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공사 기간도 길어진다. 기둥과 흙벽사이, 창틀의 설치와 주문제작형

창호의 설치, 내부 미장과 외부 마감, 흙벽에 홈을 내고 매립하는 전기공사,

내장마감과 황토미장, 구들방 및 옛날대문 제작 등 약 30여개의 공정이 일정 시기에

딱 딱 맞아야 하기 때문에 일반 건축보다 훨씬 어려운 과정을 거치게 된다.  


(4) 소규모 목 창, 미닫이에서 현대적인 창호로 바뀌었다. 

특히 창이 차지하는 비용이 훨씬 높아졌다. 작은 목 창과 여닫이 또는

미닫이 창호지창이었던 창과 문이 전망과 단열을 중시하는 현대 주택에 맞게 이중창 형태로

변화되면서 총 건축비의 10% 이상이 창과 문의 비용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5) 황토 건자재가 상품화되면서 고비용이 되었다. 

주변의 흙을 체취하여 집을 짓던 예전의 방식과 달리 고급스런 황토를 상품화 된

포장 단위로 구입하여 시공을 하다보니 흙벽돌과 황토 몰탈이 차지하는 건축비용이 높아졌다.

특히 흙의 원 기능은 살리되 클릭 등 흙집에서 나타나는 하자를 줄이기 위한

황토 건축 자재는 대중화 전 단계임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한 고비용이 들어간다.    


(6) 아스팔트 슁글, 기와, 너와 등 지붕재가 차지하는 비용이 많다.  

옛 살림집은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초가나 너와를 사용했고, 기와를 굽는 곳도 많았다.

하지만 초가나 너와는 관리가 어려워 현대인들의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고,

기와는 한식기와로 그 명백을 유지하고 있으나  한옥 형태에만 시공되기에 고비용에 속한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붕 소재인 아스팔트 슁글도 고급형 사양(수명 40년)으로 할 경우

방수시트와 처마 후레슁 등을 포함하면 지붕재가 차지하는 비용도 상당한 수준이다.    


(7) 지붕, 천장 단열이 보강되었다. 

예전 살림집의 단열은 흙이었다. 벽체뿐만 아니라 그래서 지붕에도 흙을 얹고 기와나

초가를 얹었던 것이다. 단열재가 보강된 요즘 지붕 단열과 천장 단열을 통해

이중 단열을 함으로써 그 비용이 또한 추가되었다.    

(8) 전기, 설비 및 난방 방식이 변화되었다. 

구들 아궁이 난방 방식이 석유나 가스, 심야전기 보일러 등 현대 난방으로 바뀌었고,

심야전기 보일러 난방 시 그 설치비용이 600-700여 만원에 달하는 등

많은 비용 차이를 가져왔다.

간단한 등 하나만 있던 시절과 다르게 TV-유선방송, 인터넷 전용선, 통신 등

전기공사 자체가 바뀌었고, 등도 고급화되었다. 건물의 외등이나 마당의 잔디 등,

정화조에 연결하는 외부선 등 지중 매설 공사를 포함한 공사 범위도 넓어졌다.  
현대 주택에서 가장 핵심적인 하자 요인이 전기 설비 공사임에

그 비용은 지속적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9) 도배, 장판, 마루, 전등, 신발장, 씽크대, 붙박이장, 벽난로 등 마감사양이 고급화되었다.  

신문지나 초배지로 마감하던 정서에서 한지벽지로 고급화하고, 콩기름 종이장판으로  

기능을 높이고, 거실은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온돌마루로 시공하게 되었다.

전등은 한옥집에 어울리는 원목형 창살 전등으로 하고, 신발장과 씽크대 역시

현대인들의 정서에 부합하도록 사양을 고급화하게 되었다.

특히 입식 생활에서 주효한 서구 벽난로가 수입되면서 그 기능이 온돌문화와 결합하여

거의 대부분의 신축 주택에서 선호하게 됨으로써 총 건축비 상승을 가져왔다.  

(10) 오배수 배관 및 정화조 설치, 자연석 쌓기 및 토방 등 부대공사가 많아졌다. 

그저 오수를 저장하는 기능에서 환경을 고려한 합병정화조 설치가 권장되고 법제화되면서,

더욱이 그 시공 방식이 강화되면서 합병정화조 콘크리트 옹벽과 정화조 설치비용이 400여 만원

정도 소요되는 비용 상승을 가져왔다. 집을 아늑하게 만들어 주는 토방이나 경사지 면의

자연석 쌓기 등 외부의 정지작업 비용도 조경과 더불어 필수 요소가 되어 가고 있다.

(11) 품앗이 건축에서 전문가 건축으로 바뀌었다. 

우리 살림집은 농촌 공동체 문화의 직접적인 산물로서 품앗이 형태의 공동 집짓기였다.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건축 소재로 나무와 흙을 구하고 지붕재를 선택했다.

구들을 놓고 아궁이와 굴뚝을 만들면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 졌다. 
집의 기능과 실용성, 모양과 마감을 중시하는 현대주택으로서의 흙집은

전문가 집단의 현대흙집으로 시공 방식이 바뀌었다. 

위의 모든 요소들로 인하여 흙집은 내 손으로 지을 수 있는 간단한 집, 적은 비용으로

지을 수 있는 집이 아니라 한옥의 맛은 살리고 기능은 현대주택인 복잡하고도 비용이

많이드는 주택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